Seoul Samseongdong

Competition for Samseon-dong Children and Youth Library, Seoul
Architecture / Competition
2022

TEXT in KR

Samseondong´s Curtural Corners
시선과 동선을 끌어들이며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코너공간을 통해 주변과 건물을 동시에 활력을 주는 도심 속 개방형 공공 도서관

섬 혹은 방, 우리가 앉을 곳은 어디에?
삼선동 일대의 도시조직은 다양한 스케일과 프로그램들로 채워져 있음에도 정작 잠시라도 머물 수 있는 외부공간은 찾아보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현재의 고층 아파트 단지 소규모의 다세대 주택, 근린생활시설 건물들은 필요한 실들을 감싸는 외연으로만 기능할 뿐 그 사이의 도시적 공용공간에 대해서는 아무런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 곳에 우리는 동네 어귀에 놓여있던 느티나무 아래 평상처럼, 위요된 형태의 안락한 공용공간들을 담은 도서관의 제스처를 통해 건조한 주변 도시조직에 활력을 주고자 한다.

양가적 속성을 담은 도서관
어린이, 청소년 도서관은 다양한 성격의 이용자들이 편안하게 출입 이용할 수 있는 개방적 성격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유아, 어린이 연령대들이 보호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세심히 조정되어야 한다.
본 도서관 건물은 이러한 양가적 속성을 다양한 층위에서 담아낸다. 두 주요 프로그램인 자료열람영역과 교육문화영역은 다채로운 공간적 체험을 제공하면서도 명확히 구분된 동선구조와 업무관리영역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높은 편의성을 가진다.
이러한 공간적 특성은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견고함과 부드러움을 동시에 드러내는 내, 외부의 재료와 형태에도 확장, 연계된다.

Strategies

1. Empty ends, filled center
보행자와 주차를 위해 남북으로 비워진 대지, 충분한 건물의 깊이를 위해 중앙부에 컴팩트하게 자리잡은 건물

2. Clear division of main and minor spaces
동측의 옹벽과 인접건물의 주차장 출입구 볼륨에 대응하는 편심코어와 벽면녹화

3. Three corner spaces as comfort neighbour zone
진입부와 마을 쉼터 역할을 하는 북측과 서측의 도로에 면해 열린 세 곳의 코너공간, 이곳에 인접한 계단실을 통해 긴밀히 연결되는 세 층의 자료실

4. EX:GROUND
리빙랩, 메이커스페이스 그리고 프로그램 실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중정과 마당의 성격이 통합된 공용공간인 EX:그라운드

5. Various green spaces
다양한 레벨과 성격을 가지며 건물의 내외부의 공간적 퀄리티를 끌어올리는 녹지영역

배치계획
예각으로 만나는 두 인접도로의 교차지점에 진입광장의 북측과 차량흐름이 상대적으로 한적하며 협소한 대지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주차공간으로 남측을 비워주는 가운데 건물은 넓은 폭의 중앙부에 컴팩트하게 자리잡는다. 서측과 북측의 도로에 면해 움푹 들어간 코너 공간은 넓은 벤치와 조경공간을 포함한 마을의 테라스공간으로서 건물의 진출입과 채광 그리고 마을의 휴식공간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한다. 대지 내, 외의 고저차에 반응하는 가운데 건물은 다양한 외부 테라스공간을 가지는 가운데 북측으로 점점 높아지는 볼륨의 형태를 가진다.

평면계획
옹벽의 위치와 인접대지에 위치한 건물들의 성격을 고려해 건물의 코어는 동측에(편심코어) 자유로운 구성의 가능성을 가진 메인 공간들은 서측에 위치한다. 진입부와 수직코어 사이에는 충분한 면적의 홀 공간을 위치하며, 모든 레벨에는 장애인의 출입이 가능한 유니버셜 디자인이 적용되어 있다. 지하주차장(30m2)은 면적대비 효율을 위해 생략, 지상 주차장 대수(총5대)에 통합되었다.
자료열람영역:
자료열람 영역의 지하 1층, 지상 1, 2층 사이에는 각각 독립된 계단을 설치, 상호간의 공간, 기능상의 연계를 강화한다. 열람실과 계단은 코너공간에 접하는 가운데 적절한 내부 자연채광과 함께 수평, 수직적 시선교차가 동시에 발생하는 공간이 된다. 책장을 비롯한 자료실의 가구요소들은 개별적인 기능충족에 그치지 않고, 공간의 구분과 통합에 적극적으로 관장하는 건축적 요소로 계획된다. 지하 1층의 유아 열람식은 계단이 완만하고 널찍한 스탠드와 책장으로 확장되며 아이들에게 다양한 포즈의 독서활동을 가능케 한다. 1, 2층의 책장들은 어린이, 청소년의 신장을 고려한 높이로 구성되어 책장과 파티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교육문화영역:
리빙랩, 메이커스페이스 그리고 프로그램실은 3층에 위치한 중정과 체험마당의 공간적 성격이 통합된 남서측을 향해 열리며 지붕을 가진 EX:그라운드를 공유한다. 본 공용공간에서 일어나는 노천공연, 리빙랩 및 공작 활동, 연회행사 등 다양한 도시적 이벤트는 도서관의 정체성을 가장 명료하게 드러내는 무형의 랜드마크(invisible Landmark)가 된다.
업무관리영역:
업무관리영역은 도서관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의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코어영역 근처에 자리잡는다. 사무공간은 진입마당과 출입부의 이용자들의 원활한 지원과 관리를 위해 2층 북측에, 보관서고는 일정한 보관환경(온도, 직사광선)의 유지를 위해 1, 2층 코어 남측에 각각 위치한다.

입면, 재료 계획
개방적이면서도 보호된 양가적 속성을 가진 본 도서관의 공간적 성격은 견고하고 부드러운 조형적 성격을 동시에 담은 매스와 재료구성으로 해석되었다. 주 마감재료는 볼륨의 특성을 잘 드러내면서도 동시에 방염, 내후성이 뛰어난 무기질 천연몰탈이며, 개구부들은 건물의 향과 프로그램 별 특성을 세심하게 고려해 위치와 치수가 결정되었다. 3,4층의 곡면유리는 2개의 기본 모듈로 구성되어 제작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